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177_T0450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ncristobal-Santo_Domingo
English: Esta es una imagen que presenta en primer plano la ciudad de San Cristobal y en segundo plano la ciudad de Santo Domingo. Author Wilercgm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012▲ 宀凡士巳三 ■ 면범사사삼 12ㅡ 집에서 평범한 선비가 머물면 뱀과 같은 지혜가 3개나 생겨난다. ( 집 면 [사방이 지붕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집] 갓머리( 부수( 部首)의 하나) )( 무릇 범 )( 선비 사 )( 뱀 사 )( 석 삼 )
038▲ 句丘冬令立 ■ 구구동령립 38 ( 글귀 구/ 올가미 구, 글귀 귀 ) ( 언덕 구 )( 겨울 동 / 북소리 동) ( 하여금 령 / 영) (설 립 / 입, 자리 위 )
재춘법한자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Kyoto [san-chn]
artha-pratibhāsa 似塵 [san-eng]
kulasya $ 범어 for the family [pali-chn]
svabhāva 性 [pal-eng]
passasati $ 팔리어 pa + sas + abreathes out. [Eng-Ch-Eng]
器 (1) A vessel, tool, implement, utensil. (2) Function, ability, capacity, capability, amount. (3) To use as a utensil. To use or employ people according to their capabilities. (4) To respect a person, especially for her/his abilities. [Muller-jpn-Eng]
二無我 ニムガ (term) two forms of selflessness [Glossary_of_Buddhism-Eng]
PROPHECY OF BUDDHAHOOD☞ See: Prediction of Buddhahood.
[fra-eng]
rebutés $ 불어 rejected [chn_eng_soothil]
一地 The one ground; the same ground; the Buddha-nature of all living beings i.e. as all the plants grow out of the one ground, so all good character and works grow from the one Buddha-natur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第2 善現起請分 ▼[羅什] (缺譯) [玄奘] 具壽善現亦於如是眾會中坐. [義淨] (缺譯) 02-01 तेन खलु पुनः समयेनायुष्मान् सुभुतिस्तस्यामेव पर्षदि संनिपतितोऽभूत्संनिषण्णः। tena khalu punaḥ samayenāyuṣmān subhūtistasyāmeva parṣadi samnipatito'bhūtsaṁniṣaṇṇaḥ| 게다가 바로 그 때, 장로인 수보리가 바로 그 회합에 참석하여 함께 앉아있게 되었다. ▼▷[tena] ① tena(pn.ƾ.ins.) → [그]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② khalu(ƺ. indeed, certainly, truly)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 게다가] ② punar(ƺ. again, further, moreover, once more; back; on the other hand) ▼[samayenāyuṣmān] ① samayena(ƾ.ins.→adv.) + āyuṣmān(nj.→ƾ.nom.) → [시간으로、 長老인(←長壽하는)] tena(그) khalu(바로) samayena(시간으로) → 바로 그 때…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② āyuṣmat(nj. alive, living; longlived; lasting) < * + mat(possessive affix) < āyus(ƿ. life, duration of life; vital power; food) ▼[subhūtistasyāmeva] ① subhūtiḥ(ƾ.nom.) + tasyām(pn.Ʒ.loc.) + eva(ƺ.) → ▼[수보리가、 그、 바로] ② subhūti(ƾ. N. of …; wellbeing, wellfare) < su(ƺ. good, excellent, right) + bhūti(Ʒ. being, existence; birth, production; success, goodfortune; wellbeing, welfare) ② tasyām(pn.Ʒ.loc.sg.) < tad(pn. that, he, it, she)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parṣadi] ① parṣadi(Ʒ.loc.) → [회합에] ② parṣad(Ʒ. an assembly, a meeting, conclave; particularly, a religious synod or assembly) ▼[samnipatito'bhūtsaṁniṣaṇṇaḥ] ① samnipatitaḥ(njp.→ƾ.nom.) + abhūt(aor.Ⅲ.sg.) + saṁniṣaṇṇaḥ(njp.→ƾ.nom.) → [참석하였다、 되었다、 함께 앉아있었다.] → 참석하여 함께 앉아있게 되었다. samnipatitaḥ(nj.→ƾ.nom.) : 참석한 수보리가 함께 앉아있게 되었다. - [△] ② samnipatita(nj.) < * + ita(past.pass.p.) < samnipat(1.ǁ to alight, descend; assemble, meet together; arrive, appear) < saṁ(ƺ. with, together with) + ni(ƺ. down, back, into) + pat(1.ǁ. to fall, fall down, come down)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② saṁniṣaṇṇa(nj.) < saṁ(ƺ. with) + niṣaṇṇa(p.p. seated, rested, reclined; supported)
35 허벅다리 upper thigh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38 정강이[Shin]
60 완수[腕首] - 손목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618_003610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12. 선하고 악한 원숭이의 인연
부처님께서 왕사성에 계셨다. 그때 비구들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바달다에게 의지하면 언제나 고뇌를 받고, 세존께 의지하면 현재에도 안락을 얻고 뒤에도 좋은 곳에 태어나 해탈의 도를 얻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은 오늘만이 아니다. 옛날에 두 마리 원숭이가 있었는데, 모두 5백 마리씩의 권속을 거느리고 있었다. 때마침 가시왕의 아들이 사냥을 나와 그들을 포위하려 하였다. 선한 원숭이는 나쁜 원숭이에게 말하였다. ‘우리는 지금 이 강을 건너 가면 어려움을 면할 수 있을 것이다.’ 나쁜 원숭이는 말하였다. ‘우리는 건널 수 없다.’ 그러자 선한 원숭이는 여러 원숭이들에게 말하였다. ‘저 비다라(毘多羅) 나뭇가지가 매우 길구나.’ 5백 권속들은 그 나뭇가지를 잡고 강을 건너갔다. 그러나 나쁜 원숭이 권속들은 건너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왕자에게 사로잡히게 되었다. 비구들이여, 그 때의 그 선한 원숭이는 바로 내 몸이요, 나쁜 원숭이는 바로 저 제바달다이다.
그가 거느린 권속들은 그 때에도 괴로웠는데, 지금 그에게 의지한 자들도 또한 그와 같느니라. 그때 내게 의지한 자들은 언제나 즐거움을 받아, 현재에는 명예와 공양을 얻고, 장래에는 인간이나 천상에서 해탈을 얻을 것이다. 그때 제바달다에게 의지한 자는 언제나 괴로움을 받아, 현재에는 나쁜 이름을 얻고 사람들이 공양하지 않으며, 장래에는 3악도(惡道)에 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부디 나쁜 벗을 멀리 떠나고 좋은 벗을 친해야 한다. 좋은 벗은 언제나 사람에게 안온과 즐거움을 준다. 그러므로 좋은 벗을 친해야 한다. 그러나 나쁜 벗은 멀리 떠나야 한다. 왜 그런가? 나쁜 벗은 사람을 불살라, 이 세상에서나 뒤 세상에서 뭇 괴로움이 모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