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각지
[한문]七覺支
[범어]sapta-bodhyaṅga
[티벳]byang chub kyi yan lag bdun
[영어]seven subdivisions for enlightenment】 37도품(道品)을 이루는 7과(科)의 하나. 택법(擇法), 정진(精進), 희(喜), 경안(輕安), 사(捨), 정(定), 염(念) 등. [동]칠각분(七覺分) , 칠각의(七覺意) , 칠등각지(七等覺支) , 칠보리분(七菩提分) , 칠편각지(七遍覺支).[abr]약}칠각(七覺).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한문]七覺支 칠각분과 같음. ●칠각분 ◀七覺分▶ 【범】sapta-bodhyaṇgāni 열반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37가지 도행(道行) 가운데 제6. 칠보리분(七菩提分)ㆍ칠각지(七覺支)ㆍ칠각의(七覺意)ㆍ칠각(七覺)이라고도 함. 불도를 수행하는데, 지혜로써 참되고 거짓되고 선하고 악한 것을 살펴서 골라내고 알아차리는데 7종이 있다. (1) 택법각분(擇法覺分). 지혜로 모든 법을 살펴서 선한 것은 골라내고, 악한 것은 버리는 것. (2) 정진각분(精進覺分). 여러 가지 수행을 할 때에 쓸데없는 고행은 그만 두고, 바른 도에 전력하여 게으르지 않는 것. (3) 희각분(喜覺分). 참된 법을 얻어서 기뻐하는 것. (4) 제각분(除覺分). 그릇된 견해나 번뇌를 끊어버릴 때에 능히 참되고 거짓됨을 알아서 올바른 선근을 기르는 것. (5) 사각분(捨覺分). 바깥 경계에 집착하던 마음을 여읠 때 거짓되고 참되지 못한 것을 기억하는 마음을 버리는 것. (6) 정각분(定覺分). 정에 들어서 번뇌 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 (7) 염각분(念覺分). 불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잘 생각하여 정(定)ㆍ혜(慧)가 고르게 하는 것. 만일 마음이 혼침하면 택법각분ㆍ정진각분ㆍ희각분으로 마음을 일깨우고, 마음이 들떠서 흔들리면 제각분ㆍ사각분ㆍ정각분으로 마음을 고요하게 함. ((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칠각지 ❋추가참조 ◎[개별논의]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칠각지(七覺支)는 불교의 37조도품의 하나로서, 열반에 이르는 수행법 중 하나이다. 설명: 염각지(念覺支) : 염은 사념(思念)의 뜻으로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마음속 깊이 새겨서, 모든 진리의 법을 닦을 때 능히 깨달아 사념하며 정혜(定慧)를 균평(均平)히 하여 혼침(昏沈)하고 부동(浮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택법각지(擇法覺支) : 택은 간택의 의미이며, 지혜로써 제법을 관찰하여 참된 것과 거짓된 것을 가려서 허위의 법은 버리고 참된 법을 간택하는 것이다. 정진각지(精進覺支) : 정은 부잡(不雜), 진은 무간(無間)의 뜻으로 닦을 바 법에 노력 정진하는 것으로 진리를 수행할 때 쓸데없는 고행은 그만 두고 바르고 참된 정법에 오로지 한 마음을 기울여 부지런히 노력하여 쉼없이 마음을 어리석지 않게 하는 것이다. 희각지(喜覺支) : 환희심으로 진리를 즐겨 구하는 것으로서 마음이 참 진리에 계오(契悟)하여 환희를 얻을 때 참 진리는 전도(顚倒)의 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진리의 희열에 머무는 것이다. 제각지(除覺支) 또는 의각지(掎覺支) : 제는 단제(斷除)로서, 그릇된 모든 견해와 번뇌를 끊어 버림으로써 허위의 법을 제거하고 진정한 선근을 증장하여 가벼운 마음으로 몸과 마음을 편한하게 하는 것이다. 사각지(捨覺支) : 사는 사리(捨離)의 뜻이며, 바깥의 모든 경계에 집착하던 마음을 여의어 거짓되고 참되지 못한 법을 영원히 추억(追憶)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정각지(定覺支) : 정은 선정(禪定)으로서 선정에 들었을 때 능히 모든 것을 깨달아 모든 번뇌 망상이 일어나지 않고 마음에 산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택법, 정진, 희각지는 혜(慧)에 속하고, 제, 사, 정각지는 정(定)에 속하며 염각지는 정혜를 겸한다.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七覺支 【術語】 覺法有七種, 故云七覺支。 即七菩提分也。 【名數】 見七覺分條。 【參見:七覺分】
①-125■불광사전
hbfl--10_Cha1570.TIF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saptabodhyaṅgāni [Mvyt: 988]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saptabodhyaṅgāni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सप्तबोध्यङ्गानि
中文 / Chinese:
七菩提分
中文 / Chinese:
七覺支
藏文 (Wylie) / Tibetan (Wylie):
byang chub kyi yan lag bdun gyi ming la
藏文 / Tibetan:
བྱང་ཆུབ་ཀྱི་ཡན་ལག་བདུན་གྱི་མིང་ལ་
● From BUDDHDIC
七覺支 シチカクシ
(term)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七覺支 (sapta-bodhy-anga^ni).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Also written as 七覺分. They are: (1) zefa 擇法 correctly evaluating the teaching; (2) jingjin 精進 making effort at practice; (3) xi 喜 rejoicing in the truth; (4) qingan 輕安 attainment of pliancy; (5) (nian) 念 keeping proper awareness in meditation; (6) (ding) 定 concentration; (7) xingshe 行舍 detachment of all thoughts ● From external things. This is a representative list of these seven factors: different reference works will list other versions of these.
● From various_buddhist
七覺支 (名數)【參見: 七覺分】 [Dfb] (術語)覺法有七種, 故云七覺支。 即七菩提分也。 [Dfb]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선정을 닦을 때에 마음을 한 경계에 머물러 산란치 않게 하는 9종의 방법. 안주심(安住心)ㆍ섭주심(攝住心)ㆍ해주심(解住心)ㆍ전주심(轉住心)ㆍ복주심(伏住心)ㆍ 식주심(息住心)ㆍ멸주심(滅住心)ㆍ성주심(性住心)ㆍ지주심(持住心). 답 후보 ● 구주심(九住心) 궤범사(軌範師) 규기(窺基) 근(根) 근본식(根本識) 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Pawo [san-chn]
kṛtâñjalī 合掌 [san-eng]
pātañjalī $ 범어 author of the Yoga Sutras [pali-chn]
sahagata 共起 [pal-eng]
a.t.thapada $ 팔리어 nt.a chessboard. [Eng-Ch-Eng]
十宗 'Ten schools.' The division of Chinese schools of Buddhism into ten schools of thought. There are variations in the ordering of these ten. {I} The Huayan classification (by Fazang 法藏) is as follows. (1) the self and elements are both real; (2) elements are real but the self is not; (3) elements are not created or destroyed; (4) the manifest world is both provisional and real; (5) the worldly view is delusion and fundamental reality is true; (6) things are merely names; (7) all things are unreal; (8) the bhu^ta-tathata^ is not unreal; (9) 相想俱絕宗 phenomena and their perception are to be gotten rid of, and (10) the all inclusive teaching of the single vehicle. Fazang's classification is also called the Xianshou shizong 賢首十宗. [Muller-jpn-Eng]
有主物 ウシュモツ personal property [Glossary_of_Buddhism-Eng]
FIVE DEFILEMENTS☞ See: Five Corruptions. [fra-eng]
sinistrée $ 불어 victim
72 아난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 마하살은 다시 어떤 이름이 있으며 이와 같은 큰 다라니를 잘 수행하시고 잘 설하신 이래 또 얼마나 오랜 겁을 지나셨나이까. 오직 원하옵건대 세존이시여 이 보살의 명호와 겁의 수효와 장단과 또 무슨 선근을 성취하셨기에 이와 같은 큰 다라니(陀羅尼)를 잘 설하실 수 있는지 설하여주십시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보살의 명호는 관세자재(觀世自在)이며 일명 견색(羂索)이며 또한 천광안(千光眼)이니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관세자재보살은 불가사의한 위신력이 있으니 이미 과거무량무수한 아승기겁 전에 성불하였으니 명호는 정법명여래(正法明如來)니라. 대비원력으로 일체 중생을 성숙시키고 안락을 얻게 하고자 하는 까닭에 보살의 형상을 나타내셨느니라. 이 보살의 명호도 듣기 어려운데 어찌 뵐 수 있겠느냐. ● 마바리승갈라야 摩婆唎勝羯囉夜<七十二> ma va ri śaṅ ka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 오늘의 게송
[150일째]
어불가설제월중 $ 021▲阿婆鈐阿婆鈐為 一 ● 彌伽(上)婆, ○□□□□,一,於,復,於 □□□□□□□, 一一現光不可說, 於彼一一光明內, 復現於日不可說。 □□□□□□□, 일일현광불가설, 어피일일광명내, 부현어일불가설。 말할 수 없이 많은 모든 달마다 나타내는 낱낱 광명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광명 속에서 해[日]를 다시 나타냄도 말할 수 없네.
[151째]
어불가설제일중 $ 022▲彌伽婆彌伽婆為 一 ● 毘攞伽, ○□□□□,一,於,又,於 □□□□□□□, 一一現色不可說, 於彼一一諸色內, 又現光明不可說。 □□□□□□□, 일일현색불가설, 어피일일제색내, 우현광명불가설。 말로 할 수 없는 낱낱 해에서 나타내는 낱낱 빛깔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빛깔 속마다 광명을 또 나투어 말할 수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