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에 또 여래부(如來部)삼매인을 맺는다. 두 손으로 주먹을 쥐고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세워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이전의 여래부삼매명을 외워 자신을 옹호한다.
다음에 존나보살의 근본인을 맺는다. 두 손으로 주먹을 쥐고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을 침처럼 하고 두 개의 집게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 마디에 놓는다. 그리고 나서 두 개의 엄지를 집게손가락 옆에 놓은 다음 정수리 위에 놓아 인을 이루고, 이 인을 맺을 때 존나보살의 근본대명을 외워 자신을 크게 옹호한다. 이렇게 진언행인이 인을 맺고 대명을 외우면 이 때 존나보살이 환희하며 돌아본다.
다음에 두인(頭印)을 맺는다. 두 손을 합장하고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넣어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대명(頭大明)을 외운다.
옴 존하리 唵引尊紇哩二合引一
다음에 정인(頂印)을 맺는다. 이전의 인에서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고쳐서 가운뎃손가락의 중간마디를 잡아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대명을 외운다.
옴 존훔 唵引尊吽一
다음에 심인(心印)을 맺는다. 두 손으로 주먹 쥐고 두 개의 집게손가락을 약간 펴서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심대명을 외운다.
옴 존바닥 唵引尊癹吒半音一
다음에 갑주인(甲冑印)을 맺는다. 이전의 정인(頂印)에서 다시 손을 펴서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갑주대명을 외운다.
옴 존만다 唵引尊滿馱一
다음에 본부모인(本部母印)을 맺는다. 또한 불안인(佛眼印)이라고도 이름한다. 두 손을 합장하고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한 다음, 두 개의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마디를 잡고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넣어 인을 이룬다. 그리고 나서 인에 따라 이전의 감로군다리대명을 외운다. 다음에 본부존인(本部尊印)을 맺는다. 두 개의 약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넣어 흔든 다음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을 침처럼 하여 두 개의 집게손가락을 똑바로 펴서 중지의 뒤에 놓고,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펴서 집게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놓아 인을 이룬다. 그리고 나서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본부존대명을 외운다.
이 대명을 외우고 나서 깨끗한 발우에 향수를 가득 채운 다음 다시 감로군다리 대명으로 일곱 번 가지한다. 그리고 나서 도량의 동북 모서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사방에 뿌려 깨끗이 하여 마장을 쫓아낸다. 다음에 청소인(請召印)을 맺는다. 이전의 근본인(根本印)에서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고쳐 갈고리처럼 구부려 인을 이룬다. 이 인은 현성을 불러들인다.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청소대명을 외운다.
이혜바아바디 존나 다 라니 아 아차 아 아차 마마바가다야 다사 伊呬婆誐嚩底一尊那引馱引囉尼二阿引誐蹉三阿引誐蹉四摩摩薄訖怛也二合五怛三 마예 나자 리가 바라 뎨 체 난 바라 셰 나미 摩曳引曩佐引哩伽二合六鉢囉二合帝引砌引難七鉢囉二合細引那彌引八
이 대명을 외우고 나서 모든 현성들이 부르는데 따라 온다고 생각하고, 곧 감로군다리대명을 외워 현성들을 안주시킨다.
다음에 삼매인(三昧印)을 맺고 대명을 외워 현성의 자리에 바친다. 삼매인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집게손가락의 손톱을 누르고, 나머지 손가락은 금강의 모습과 같이하여 인을 이룬다.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삼매대명을 외운다.
옴 샹가리 삼마예 사바 하 唵引商羯哩引三摩曳引娑嚩二合引賀引一
이 대명을 외우고 나서 진언행인이 곧 말하기를 ‘오직 원하오니, 보살이여 이 자리에 앉으셔서 도량에 안주하시고 저의 공양을 받아주소서’라고 한다. 그 다음에 본부대명(本部大明)을 일곱 번 외워 가지한 향수로 알가(閼伽)를 삼고, 다음과 같은 본부대명을 외운다.
다음에 근본인(根本印)을 맺는다.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단단히 얽은 다음 평평히 펴서 인을 이루고 대명을 세 번 외워 이전의 알가수에 가지한다. 그 다음 동쪽을 바라보며 호궤(䠒跪)하고 성현에게 봉헌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 가마라사바 하 唵引迦摩攞娑嚩二合引賀引一
알가를 바치고 나서 다시 감로군다리인을 맺고 감로군다리대명을 외운 다음, 금강계(金剛界)를 맺어 옹호한다. 다음에 시방계(十方界)를 맺는다. 두 손을 서로 나란히 한 다음 우선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왼손의 새끼손가락 첫마디에 놓는다. 그리고 왼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약손가락과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을 오른손의 새끼손가락의 첫 마디에 놓는다. 그리고 나서 집게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침처럼 하고 다시 엄지손가락을 집게손가락의 첫 마디에 놓아 인을 이룬다. 이 인을 맺을 때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방금강계를 맺는 대명[結十方金剛界大明]을 외운다.
라다나 바아라 나디 옴 사라 사라 바아라 바라 가라훔 바닥 囉怛曩二合嚩日囉二合曩底一唵引娑囉二娑囉三嚩日囉二合鉢囉二合迦囉吽引癹吒半 사바 하 音娑嚩二合引賀引四
다음에 금강반아라인(剛半惹囉印)을 맺는다. 이전의 인에서 엄지손가락을 갈라 펴서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반아라(半惹囉)대명을 외운다.
라다나 바아라 나디 옴 미사보 라 락- 사 바아라 바 라 囉怛曩二合嚩日囉二合曩底一唵引尾娑普二合囉二合二洛乞叉二合嚩日囉二合播引囉三 훔 바닥 吽引癹吒半音四
다음에 하방결계인(下方結界印)을 맺는다. 이전의 인에서 두 개의 엄지손가락을 고쳐 곧바로 밑으로 내려 침과 같이하여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하방계(下方界)를 맺는 대명을 외운다.
다음에 대오사니사인(大烏瑟膩沙印)을 맺는다. 두 손을 서로 나란히 한 다음 두 개의 약손가락을 구부려 손바닥 안에 넣고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을 침처럼 하여 두 손의 엄지손가락 셋째 마디에 놓는다. 다시 엄지손가락과 약손가락을 침처럼 하고 새끼손가락으로 셋째 마디를 누른 다음, 다시 새끼손가락을 침처럼 하여 집게손가락에 놓아 금강과 같은 모습을 하여 인을 이룬다.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오사니사대명을 외운다.
옴 샹가리 마하 삼마예 사바 하 唵引商羯哩引一摩賀引三摩曳引娑嚩二合引賀引二
이와 같은 인과 대명 등으로 결계를 하고 나서 진언행인이 본존과 현성을 향하여 공경히 예배한다. 다음에 근본인을 맺는다. 두 손 엄지손가락 가운데 마디를 구부려 인을 이룬다. 이 인을 맺고 대명을 외운 다음 호궤(䠒跪)하고 알가를 바치고 나서 다음과 같은 관목현성대명(灌沐賢聖大明)을 외운다.
옴 자사바 하 唵引左娑嚩二合引賀引一
다음에 도향인(塗香印)을 맺는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집게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놓은 다음 다시 펴서 인을 이룬다. 이 인을 맺고 다음과 같은 도향대명을 외운다.
옴 존사바 하 唵引尊娑嚩二合引賀引一
다음에 화인(華印)을 맺는다.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첫째 마디를 서로 잡아 인을 이룬다. 이 인으로써 꽃을 바치고 다음과 같은 화대명을 외운다.
옴 존사바 하 唵引尊娑嚩二合引賀引一
다음에 향인(香印)을 맺는다. 오른손의 가운뎃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서로 잡아 인을 이룬다. 이 인으로써 향을 피워 바치고 다음과 같은 향대명을 외운다.
옴 례 사바 하 唵引隷引娑嚩二合引賀引一
다음에 등인(燈印)을 맺는다.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가운뎃손가락의 마디를 눌러 인을 이룬다. 이 인을 맺고 다음과 같은 헌등대명(獻燈大明)을 외운다.
옴 녜 사바 하 唵引禰引娑嚩二合引賀引一
다음에 출생인(出生印)을 맺는다. 왼손 엄지손가락을 가운뎃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놓아 인을 이룬다. 이 인을 맺고 음식을 바치고 다음과 같은 헌식대명(獻食大明)을 외운다.
옴 조사바 하 唵引祖娑嚩二合引賀引一
이와 같이 인을 맺고 대명을 외우고 온갖 공양을 하여 만나라 안의 모든 성현에게 봉헌한다. 그 다음에 다시 모든 세상에서 보고 들을 수 있는 모든 공양 그릇을 관상하며 행인이 이것을 가지고 시방의 모든 현성에게 공양하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시 보공양인(普供養印)을 맺는다. 먼저 합장하고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한 후에 다시 두 손의 손가락을 서로 교차시켜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보공양대명을 외운다.
나막살- 바 몯다 모디살타 남 살- 바 타 오나아 뎨 사바 曩莫薩哩嚩二合沒馱一冒地薩埵引喃引二薩哩嚩二合他引三烏訥誐二合帝引娑婆二合 라혜맘 아아나캄사바 하 囉呬?四誐誐曩劍娑嚩二合引賀引五
이렇게 두루 공양하고 나서 다음에 삼보와 관자재와 금강수보살 등을 게송으로 찬탄한다.
부처님을 다음과 같이 찬탄한다.
대자비하신 우리 부처님 모든 유정 조복시키고 복과 공덕의 바다에 머무시니 저희가 찬탄하며 예배드립니다.
다밤 녜 미삽바다 이나구디라비바라 유 아 나야 사다 나 怛鑁二合引禰引尾颯鉢多二合喏曩俱胝囉毘鉢囉二合瑜引誐引一捺也二合娑多二合捺 야 타 바나욕뎨 나자례 조례나 욕가다마시사나리다바라 샤마 야 也二合他引鉢那欲帝引曩左隷引祖隷曩二欲訖多摩試沙訥哩多鉢囉二合舍摩引野 존녜 사 하 바뎨 삼마라디다샤구도 미바디 살- 바 몯다예 바라 尊禰引三莎引賀引嚩帝引三摩囉底怛寫俱覩引尾鉢底四薩哩嚩二合沒馱曳二合鉢囉 샤사다 야삼바리 다 야우니 리우 로 아바로기다사야- 二合設娑多二合引野三勃哩二合引跢引野虞尼引哩虞二合嚕五阿嚩路吉多塞倪也二合 야나모 닐 다야 마하 다마 니 마하 마라 야잔나 야미니야 野曩謨引?切身怛也二合摩賀引怛摩二合儞引六摩賀引摩攞引野贊拏引野尾儞也二合引 라 아 야사 다베 나리난 다나마가 야시자 나마싣뎨 바아라 囉引惹引野娑引達吠引七訥哩難二合引多那摩迦引野室左二合曩摩悉帝二合引嚩日囉 바 나예 二合播引拏曳引八
다음에 진언행인이 이와 같이 찬탄하고 나서 다시 참회하여 말하기를, ‘제자 아무개가 무시이래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윤회하면서 선하지 못한 업을 지어 혹 스스로 짓기도 하고 남에게 시키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아가서 모든 불선을 보고 듣고 따라 기뻐하였기에 지금 삼보께 드러내어 참회하옵니다. 지금부터는 금계를 받들어 지녀 다시는 짓지 않을 것이며, 또한 다시 오늘부터 모든 대보살과 연각과 성문과 나아가서 모든 중생이 지은 선법(善法)을 제가 모두 따라 기뻐하겠습니다’라고 한다. 이렇게 말하고 나서 곧 근본인을 맺고 근본대명을 세 번 외운다.
그 다음에 진언행인이 다시 합장하고 말하기를, ‘아무개가 이제까지 지은 공양이 두루 갖추지 못한 것이 많고 혹 차례를 잊어 법칙에 따르지 못하였더라도 오직 보살과 뭇 현성들게 원하오니 대자대비로 환희를 베풀어 주소서’라고 한다. 다음에 알가인(閼伽印)을 맺는다. 이전의 근본인에서 엄지손가락을 고쳐 집게손가락의 첫째 마디에 놓아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알가대명을 외운다.
다음에 진언행인이 자기 몸이 존나보살이 된다고 관상한다. 먼저 인을 맺는다. 두 손으로 금강권(金剛拳)을 하고 두 개의 집게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침처럼 한 다음 나머지 손가락을 펴서 침처럼 하여 인을 이룬다. 이 인을 맺을 때 자기 몸이 존나보살이 된다고 관상한다. 그리고 머리 위에 옴(唵)자가 나타나 여래의 오사니사(烏瑟膩沙)가 되고, 다음에 두 눈에 자(左)자가 나타나 오사니사대륜(烏瑟膩沙大輪)이 된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목 위에 례(隷)자가 나타나 손에 소라와 오랏줄을 잡은 부동존명왕(不動尊明王)이 되고, 다음에 가슴 가운데 졸(卒)자가 나타나 관자재(觀自在)보살이 된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양 팔에 다시 례(隷)자가 나타나 광적명왕(光積明王)이 되고, 다음에 가슴 가운데 다시 례자가 나타나 얼굴에 세 개의 눈이 있고, 손에 연꽃과 오랏줄과 물병 등을 잡고 있는 현성이 된다고 생각한다. 다음에 배꼽 가운데 다시 졸(卒)자가 나타나 본존인 존나보살이 되고, 다음에 양쪽 넓적다리에 녜(禰)자가 나타나 금강수보살이 된다고 관상한다. 다음에 양쪽 장딴지에 사(莎)자가 나타나 얼굴에 세 개의 눈이 있고 여섯 개의 팔에 청색의 몸을 하고 코끼리 가죽옷을 입은 이가아다(伊迦惹吒)보살이 되고,
다음에 두 발에 하(賀)자가 나타나 파리색(玻瓈色)의 바아라나켸(嚩日囉曩契)보살이 된다고 관상한다. 이와 같이 관상하고 난 다음에 곧 지송한다. 지송하는 법에는 두 종류가 있다. 첫째는 무상(無相)이고, 둘째는 유상(有相)이다. 무상으로 지송하는 것은 먼저 선정인(禪定印)을 맺고 가부좌로 앉아서 몸을 단정히 하고 마음을 깨끗이 하고 머리를 약간 숙인 다음, 코끝 위를 생각하며 들이쉬고 내쉬는 숨을 거칠지도 않고 미세하지도 않게 하며 느리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게 하고 심연대명(心緣大明)을 온 마음을 기울여 지송하되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마음이 피로하거나 권태롭게 하지 말아야 한다. 이와 같이 지송하는 것을 최상이라고 이름한다.
유상으로 지송하는 것은 곧 염주를 가지고 수를 정하여 매일 한 번씩 지송하되 모름지기 실지(悉地)를 얻을 때까지 무수히 하여 한 번이라도 빠뜨리면 안 된다. 만일 한 번이라도 빠뜨리면 간단(間斷)이라고 이름하며, 구하는 일을 성취하지 못한다. 그리고 지송하고자 할 때마다 먼저 수주인(數珠印)을 맺어야 한다. 약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가운데 마디를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가운데 마디와 서로 얽어서 인을 이루고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대명을 외운다.
이 대명을 외우고 나서 곧 두 손을 합장하여 염주를 받들고 대명을 외워 일곱 번 그 염주에 가지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 나모 바아바디 싣뎨 사 다야 사다야 살- 바 리타 사 다니 唵引曩謨引婆誐嚩底一悉提引二娑引達野三娑達野四薩哩嚩二合引哩他二合娑引達儞 싣다 리뎨 사바 하 五悉馱引哩替二合引娑嚩二合引賀引六
이 대명을 외우고 나서 곧 염주를 들고 현성에게 세 번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한 후에 법에 따라 지송한다. 수를 다 채워 지송한 다음에는 다시 불안대명(佛眼大明)을 일곱 번 외우고 근본인을 맺는다. 그리고 다시 불안대명을 세 번 외운 다음, 현성에게 알가를 바치고 또다시 말하기를, ‘제가 지금 이 지송을 다하여 보살께 봉헌하였습니다’라고 한다. 그리고 또 향과 꽃과 등과 물감을 바쳐 공양한 다음에 다시 불안대명으로 자신을 옹호하고 결계(結界)한다. 다음에 아삼맘이니인(阿三?儗儞印)을 맺어 몸의 다섯 곳을 옹호한다. 아삼맘이니인은 두 손을 서로 나란히 하고 두 개의 약손가락을 서로 거꾸로 하여 손바닥 안에 넣고 두 개의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침처럼 한다. 그 다음에 다시 집게손가락을 침처럼 하여 두 개의 엄지를 눕힌 바로 아래에 놓고, 다시 약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넣어 인을 이룬다.
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아삼맘이니대명을 외운다.
옴 아삼맘이니 미 라 나예뎨 훔 바닥 사바 하 唵引阿三?儗儞引尾引囉一捺曳帝引二吽引癹吒半音娑嚩二合引賀引三
다음에 근본인을 맺고 대명을 외워 보낸다. 인의 모습은 이전과 같고 대명은 다음과 같다.
아차디 아리 혜다베 맘 안당보사반 도반마릉 바라 녜 반자 誐蹉底一仡哩二合係怛吠二合引?二巘唐補瑟半二合三度半末陵四鉢囉二合禰引半左 락- 사 바라 디하다 바라바라 가라 미 사바 하 五■乞叉二合引鉢囉二合底賀多六嚩攞鉢囉引訖囉二合彌引娑嚩二合引賀引七
이와 같이 보내고 나서 다시 염주를 쥐고 가슴 앞을 향하게 하여 옹호하고 다시 감로군다리인을 맺어 자신을 옹호한다. 그 다음 모든 부처님과 보살에게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하고 일어나서 도량을 나간다. 나가서는 오직 『대승방광화엄(大乘方廣華嚴)』과 『불모반야바라밀다경(佛母般若波羅蜜多經)』만을 독송할 수 있으며, 혹 만나라를 칠하거나 탑과 상을 조성할 때에는 세속의 책들을 이야기하면 안 된다. 이것이 항식(恒式)이다.
진언행인이 먹을 때에는 항상 존나보살의 근본대명으로 가지한 연후에 먹어야 하고 혹★★ 잠을 잘 때에도 역시 근본대명을 외워 옹호한 다음에 잠을 자야 한다. 근본대명은 다음과 같다.
나막사만다 몯다 남 옴 바란나녜 뎨 이유 마 리니사바 하 曩莫三滿多一沒馱引喃引二唵引嚩蘭那禰引三帝引喏踰二合摩引里儞娑嚩二合引賀引四
다음에 부처님과 성현의 미묘자(微妙字)를 관상하는 법을 말하겠다. 이 글자는 모두 바로 모든 부처님과 성현의 진실한 이치를 표하는 근본이며, 나아가서 무상지송(無相持誦)과 재앙을 없애는 등의 네 가지 법에 이르기까지 모두 존나법 중에서 연설하신 것이다. 진언행인이 만일 재앙을 없애거나 이익을 얻거나 경애나 항복 등의 법을 행할 때는 모름지기 이 모든 법의 하나하나를 의궤와 같이 명료히 알아야 한다. 지금 마땅히 미묘자를 만나라 안의 구위(九位)에 배치하는 차례법을 간략히 말하겠다. 첫째, 동북쪽에 옴(唵)자를 안치하며, 둘째, 동남쪽에 자(左)자를 안치하고, 다음에 례(隷)자를 안치하고 다음에 졸(卒)자를 안치한다. 이와 같이 네 모퉁이에 안치한 다음에 중위(中位)에 존(尊)자를 안치하고, 다음에 례(隷)자를 안치하고 다음에 녜(禰)자를 안치하며, 다음에 사(莎)자를 안치하고, 다음에 하(賀)자를 안치한다. 이 아홉 글자가 바로 근본대명으로서 아홉 분의 현성이 된다.
다음에 옴(唵)자는 무상법계(無相法界)이고 자(左)자는 대륜(大輪)이며, 례(隷)자는 부동존(不動尊)이고 졸(卒)자는 관자재(觀自在)이다. 또 례(隷)자는 불공견삭(不空羂索)보살이고 존(尊)자는 존나(尊那)보살이며, 녜(禰)자는 금강수(金剛手)보살이고 사(莎)자는 이가아다(伊迦惹吒)보살이며 하(賀)자는 바아라나켸(嚩日囉曩契)보살이다. 모든 대명에서 이와 같은 미묘자 중에서 만일 옴(唵)자를 선두로 하면, 능히 모든 법을 성취할 수 있다. 자(左)자는 식재와 증익과 항복의 세 가지 법에서 큰 위력이 있으며, 례(隷)자는 능히 원수를 파괴하고 또한 보내는 법과 옹호하는 법에서 공력이 가장 크다. 졸(卒)자는 마치 금시조(金翅鳥)가 용을 잡아먹듯이 능히 적군을 파괴하고 물리치게 할 수 있으며, 례(隷)자는 대악을 파괴하는데 가장 뛰어난 힘이 있다. 존(尊)자는 모든 일을 능히 성취시키고 견고한 포박을 능히 파괴할 수 있으며, 녜(禰)자는 능히 마귀의 원한과 모든 대악을 파괴할 수 있고, 또한 능히 입오법(入寤法)을 행할 수 있다. 사(莎)자는 능히 자신을 옹호하고 능히 원수를 파괴하며 또한 능히 발우[鉢]를 입오(入寤)하게 하는 법을 행할 수 있다. 하(賀)자는 능히 큰 독(毒)과 모든 병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은 글자는 마치 팔정도가 능히 유정으로 하여금 윤회를 해탈하게 하고 그 후에 적멸을 얻게 하는 것과 같다. 다음에 행인이 이와 같은 미묘자의 모습이 자기 몸에 낱낱이 현전하되, 혹 색상이 변하거나 혹은 형태가 변하는 것을 관상한다. 만일 이와 같이 바로 눈앞에 나타나게 되면 능히 몸 안에 있는 모든 죄업을 멸하고, 번뇌를 끊어 없앨 수 있다. 처음에 옴(唵)자가 머리 위에 나타나 황금색이 된다고 생각하고, 다음에 자(左)자가 두 눈에 나타나 역시 금색이 된다고 생각한다. 다음에 례(隷)자가 목 위에 나타나 짙은 흑색이 된다고 생각하고 다음에 졸(卒)자가 배꼽에 나타나 홍련과 같은 색이나 대청색(大靑色)이 된다고 생각하되, 그 색이 나타나는 것은 그 작법에 따른다. 다음에 례(隷)자가 두 팔에 나타나 현성의 형상으로 변하거나 혹은 금색이 되거나 적색이 된다고 생각하고 다음에 존(尊)자가 가슴 위에 나타나 변하여 흰색 몸의 존나보살이 된다고 생각한다. 다음에 녜(禰)자가 두 넓적다리에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사(莎)자가 두 정강이에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글자가 자기 몸의 각 부위에 낱낱이 현전한다고 생각하여,
바로 눈앞에 나타나게 되면 모든 번뇌가 끊어지고 모든 죄가 없어지며 나아가서 마치 먼지 덮인 상(像)을 털어내어 깨끗이 하듯이, 마음속을 깨끗이 하여 정진할 수 있으며, 모든 하늘들이 다 경애하게 된다. 다음에 미묘자가 변하여 본위(本位)현성이 된다고 관한다. 글자가 존나보살본신(尊那菩薩本身)이 된다고 관할 때는 다음과 같이 관한다. 백색의 몸에 얼굴에는 세 개의 눈이 있고 열여덟 개의 팔이 있으며 불꽃이 온몸에 치성하고 흰 연꽃에 앉아 있으며 능히 몸 안에서 모든 부처님을 출생한다. 만일 글자가 다라(多羅)보살이 된다고 관할 때는 다음과 같이 관한다. 대청색의 몸에 성난 모습을 하고 날카로운 이가 밖으로 나와 있으며, 코끼리 가죽옷을 입고 한 손엔 검을 잡고 한 손엔 피가 가득 담긴 해골을 잡고 있다. 만일 글자가 이가아다(伊迦惹吒)보살이 된다고 관할 때는 다음과 같이 관한다. 오른쪽 첫째 손에 보봉(寶棒)을 잡고 둘째 손에 오랏줄을 잡고 왼쪽 첫째 손에 칼용아(竭椿誐)를 잡고, 둘째 손에 피가 뚝뚝 떨어지는 사람 머리를 잡고 있다. 만일 글자가 바아라나켸(嚩日囉曩契)가 된다고 관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관한다. 몸색은 달빛과 같고 오른쪽 두 손에 검과 도끼를 잡고 왼쪽 두 손에 견삭과 연꽃을 잡고 있다. 이 바아라나켸는 바로 마두명왕(馬頭明王)이 화현한 것으로 큰 위력이 있다. 만일 사가룡(叉迦龍)의 독에 쏘이면 모든 힘 있는 자도 능히 구제할 수 없고 오직 바아라나케만이 구제할 수 있다. 또 진언행인이 곳곳에서 사용할 때마다 마치 여의보(如意寶)가 모든 것을 마음대로 이루게 하는 것과 같이 모두 성취할 수 있다.
다음에 모든 대명에 글자를 더하여 사용하는 각각의 성취법을 말하겠다. 만일 옴(唵)자를 더하면 능히 경계하여 깨닫게 할 수 있고 보낼 수 있다. 만일 옴례훔(唵隷吽)의 세 글자를 더하면 그 힘으로 능히 단절할 수 있다. 또 만일 옴라훔바닥(唵羅吽癹吒)의 다섯 글자를 더하면 그 힘으로 능히 놀라고 두려워하게 할 수 있고 능히 파괴할 수 있으며 또한 옹호할 수 있다. 만일 옴조나막(唵祖曩莫)의 네 글자를 더하면 능히 경애법을 성취할 수 있다. 만일 옴조훔(唵祖吽)의 세 글자를 더하면 능히 적군을 퇴각시킬 수 있고, 만일 옴례바닥(唵隷癹吒)의 네 글자를 더하면 큰 전투를 멈추게 할 수 있다.
▸ 만일 식재법(息災法)을 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대명을 외운다.◂
옴 존아모갈샤션정구로사바 하 唵引尊阿母羯寫扇鼎俱嚕娑嚩二合賀引一
▸ 만일 증익법(增益法)을 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대명을 외운다.◂
옴 존아모갈샤락사미구로사바 하 唵引尊阿母羯寫洛叉彌俱嚕娑嚩二合賀引一
▸ 만일 경애법(敬愛法)을 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대명을 외운다.◂
옴존나막 唵尊曩莫一
만일 큰 전투를 멈추게 하려면 다음과 같은 대명을 외운다.
옴존녜훔바닥 唵尊禰吽癹吒
또 식재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움과 함께 그 이름을 부르며 구하는 일을 말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자례조례존녜아모갈샤션정구로사바 하 左隷祖隷尊禰阿母羯寫扇鼎俱嚕娑嚩二合賀引一
또 증익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우면서 그 이름을 부르고 구하는 일을 말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조례존녜사바 하 唵左隷祖隷尊禰娑嚩二合賀引一
또 경애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우면서 그 이름을 부르고 구하는 일을 말한다. 대명은 증익법과 같다.
▸ 또 항복법(降伏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우면서 그 이름을 부르고 해야 할 일을 말한다. ◂
대명은 다음과 같다.
나막자례조례존녜아모갈바시구로사바 하 曩莫左隷祖隷尊禰阿母羯嚩尸俱嚕娑嚩二合賀引一
▸ 또 구소법(句召法)을 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대명을 외운다.◂
옴자례조례존녜아모갈마갈- 사야하리 唵左隷祖隷尊禰阿母羯摩羯哩沙野紇哩二合一
또 원수를 쫓아버릴 때 대명을 외우면서 그 이름을 부르고 해야 할 일을 말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조례존녜아모갈마자다야훔 唵左隷祖隷尊禰阿母羯母佐吒野吽引一
또 마원(魔怨)을 파괴하는 법의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조례존녜아모갈마라야훔바닥 唵左隷祖隷尊禰阿母羯摩羅野吽癹吒半音一
또 마원을 극심하게 파괴하는 법의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조례존녜아전다마라니사바 하 唵左隷祖隷尊禰阿顛多摩羅尼娑嚩二合賀引一
또 대식재법(大息災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우면서 성취하여야 할 일을 말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옴자례조례존녜사바 하 唵左隷祖隷尊禰娑嚩二合賀引一
또 대경애법(大敬愛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우면서 그 이름을 부르고 성취해야 할 일을 말한다. 대명은 다음과 같다.
나막자례조례존녜나막아전다바시예하리 曩莫左隷祖隷尊禰曩莫阿顛多嚩尸曳紇哩二合一
또 대구소법(大句召法)을 행할 때 대명은 다음과 같다.
자례조례존녜하리 左隷祖隷尊禰紇哩二合一
큰 원수를 크게 파괴하는 법을 행할 때 대명을 외우면서 그 이름을 부르고 해야 할 일을 말한다.
이들 다양한 방안은 중생이 처한 다양한 상황과 소원에 상응해 취할 방편이다. 이를 5종법 또는 5종성취법이라고 표현한다. 이는 또 5지, 5부에 배당하기도 한다.
불부는 식재법 금강부는 항복법 보부는 증익법 연화부는 경애법 갈마부는 구소법과 관련된다.
중생의 상황과 소원이 제각각 다르다. 처음 가장 원칙적인 내용과 수행방안의 제시만으로 노력하여 생사고통을 벗어나는 이가 있다.
그런데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수행을 실천하지 못하는 이들이 남게 된다.
그러면 다시 이를 대상으로 그 소원을 성취시켜주는 것을 방편으로 하여 점차 수행에 진입시키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렇게 방편을 사용해도 또 수행을 실천해 생사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들이 남는다. 그래서 다시 이들을 직접 상대해 수행에 진입시키도록 노력하게 된다.
그런데 선교방편을 그처럼 무량하게 행해도 끝내 고집을 피우고 오히려 거칠게 행하는 이들이 최후로 남게 된다. 이런 경우를 방치하면, 수행을 하는 이나 일반 중생들에 끼치는 폐해가 많게 된다. 그런 경우는 결국 이를 억눌러 항복을 받는 방편을 사용하게 된다.
결국 중생들의 상태나 근기에 맞추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이 시설되게 된다. 중생의 선근이 성숙되고 수준이 높으면 적은 노력으로 스스로 수행을 성취하게 된다. 그런데 사정이 그렇지 못하면, 수행자가 더 많은 수행과 노력을 해야 한다.
현실에서 행하는 교육 사정과 비슷하다.
만일 어떤 이가 대학원생을 교육하려 한다고 하자. 대학원생은 어떤 주제를 제시하고 약간의 방안만 제시하면 거의 대부분 스스로 연구하고 노력해 결과를 얻게 된다.
그런데 점차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으로 내려갈 수록 그 상황이 달라지게 된다.
그런데 이제 아예 학교 밖에서 막무가내로 임하면서 온갖 범죄를 행하는 이들이 있다고 하자.
이런 모든 경우에 맞추어 방편이 달리 시설되게 된다.
그래서 상대가 수준이 낮을수록 이를 담당하는 이의 노력이 점점 더 많아지고 채택하는 방편이 더욱 힘들게 되는 사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대장경의 내용과 성격이 다양하게 시설된 사정도 이와 같다. 현실에서 표준적인 내용만으로 이를 실천해 생사를 벗어나는 경우는 희박하다. 오히려 그 반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전의 수를 살펴보면 밀교부 경전이 전체 경전의 과반을 차지하게 된다. 그렇게 되는 사정도 이를 통해 미루어 살펴볼 수 있다.
종교의 수행형태가 원래 표준적인 수행과 멀고 기복종교 형태로 된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 사정도 마찬가지다.
중생들은 실상과 현실의 본 정체, 인과, 그리고 생사를 벗어나는 수행방안 이런 것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하다.
그러나 질병 치유, 자신의 사업의 성취, 자녀들의 진학, 취직, 결혼, 등에는 대단히 관심이 깊다. 그리고 심지어 이사를 가려고 할 때 언제 이사가는 것이 길한가. 이런 것에 관심을 집중시킨다.
이를 해결해주면 좋다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외면한다.
수행자가 이를 해결해줄 방편과 신통을 가져야 하는 사정이기도 하다. 사정이 그렇다고 방편 자체를 직접 상대에게 제공하면 그로 인해 무량한 부작용을 만나게 된다.
그래서 수행자가 중생제도를 행할 상황에서는 다라니 삼매 신통이 필수적인 사항이 된다.
그 배경사정이 이와 같음을 이해하지 못하면 결국 수행자는 자신 혼자 생사를 벗어나는 수행을 할 뿐 다른 중생 제도를 포기하게끔 된다.
◆vfjp1167
◈Lab value 불기2565/05/27
○ 2019_0106_153310_nik_Ar28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ack-Bush-lemon-in-a-basket-1952
Artist: Jack-Bush https://en.wikipedia.org/wiki/Jack_Bush Title : lemon-in-a-basket-1952 Info
우선 노벨이란 이가 막대한 현금수익을 세속에서 거두었다. 그런데 그런 수익을 얻게 된 데에는 막대한 이들이 희생된 배경이 있다. 노벨이 공급한 화약이 양면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터넬을 뚫는데 화약을 사용하면 노력을 경감시킨다. 그런데 이런 화약이 살상도구로 사용된 것이다.
그래서 노벨이 막대한 수익을 얻었지만, 이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를 만회하고자 사회에 기여하는 연구를 하는 이들에게 상금을 주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잘못은 한 번으로 족해야 한다. 그러나 이 노벨상으로 인해 한번의 잘못이 무량한 잘못으로 이어지게 된다.
처음의 잘못은 어떻게 발생한 것인가. 하나의 방편이 좋은 방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나쁜 방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서 그런 방편을 세상에 제공할 때는 이 두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마땅하다. 그런데 오로지 한 측면만 생각하고 마구 공급한 것이 문제다.
그런데 그 이후 무언가를 개발했다고 해서 상을 주는 일이 또 그런 성격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문제다.
아윈쉬타인도 사정이 같다. 그가 제공한 지식은 한편으로는 에너지 문제 해결등에 기여한 바가 있다. 그런데 또 노벨과 마찬가지로 막대한 위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현실 문제도 결국 이와 관련된다.
그 아윈쉬타인이 바로 이 노벨상과 관련된다. 결국 노벨은 다시 이런 일을 격려하고 있는 셈이다.
근본 어리석음과 망집이 이후 망집을 증폭시키는 현상이다.
물을 놓고 생각해보자. 물이 벌에게 가면 꿀을 만든다. 물이 뱀에게 가면 독을 만든다. 물이 사람에게 가면 땀과 오줌 정도를 만든다.
그런데 이런 각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물을 찾는다고 물을 공급한다고 하자. 그리고 각기 알아서 마음대로 하라고 방임한다고 하자. 그것은 무책임한 일이다. 아니면 어리석고 지혜가 없는 행위다.
결국 물을 오로지 좋게만 사용하는 방안까지는 모르고 한 측면의 좋음만 보고 무책임하게 제공하는 행위가 된다.
그런데 세상의 방편이 갖는 특성은 다 이와 같다.
그러나 일반인에게는 그저 수도물이 평소 주는 그 정도 좋음을 준다. 물이 익사한 이에게는 죽음을 준다. 또 공수병에 걸린 개에게는 공포를 준다. 그 물이 사막에서 목마른 이에게는 황금과 같은 가치를 갖는다. 그런데 원효대상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깨달음을 준다. 이렇게 다 사정이 다르다.
하나의 물의 정체를 파악하는 상황에서도 또 사정이 다르다. 물을 어떤 이는 감로수로 대한다. 그러나 어떤 이는 그저 물로 대한다. 그러나 어떤 이는 용암이 흘러내리는 것처럼 타는 불로 대하게 된다.
바다속의 물고기가 대하는 물과 육지의 축생이 대하는 물이 다르다.
그 물을 얻어내는 과정도 또 다 다르다.
물 하나만 놓고 보아도 사정이 이와 같다.
그래서 세상에서 방편을 대할 때는 이런 혜안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좋은 취지로 좋은 방편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는 미리 이를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그것을 나쁜 취지로 아무리 사용하려고 해도 사용할 수 없게끔 하는 안전장치를 장착하는 지혜까지 필요하다.
그런 장치없이 무책임하게 제공하면 결국 무책임한 행위를 한 것이 된다. 그런 행위를 단 한번 행해도 문제다. 그런데 아예 상을 제정해서 계속 장려하고 격려까지 하게 되면 더 큰 문제다.
아윈쉬타인이 결국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또 노벨과 같은 입장에 처하게 된다. 당연한 결과다.
물리학상 화학상 수상자들이 다 사정이 같다. 현재 바다가 미세 플라스틱의 쓰레기로 인해 오염되어 문제다.
온갖 화학공장이 대형 사고를 일으킨다. 독극물이 어느 필요하다고 해서 화학공장이 만들어진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파이프 하나가 고장난다. 또는 어느 부분에서 폭파사고가 일어난다. 그럴 수도 있다. 그러면 그 일대 수십만명이 자다가 죽음이나 치명적인 부상을 겪게 된다.
어떤 경우는 해충을 박멸한다고 DDT 같은 것을 뿌리기도 한다. 여름에 곤충을 제거한다고 호수에 소독제를 뿌리기도 한다. 감기를 낳게 한다고 어떤 신약을 공급하기도 한다.
그 이후 그 일대에서 물고기나 닭 오리 새등이 다 죽음을 당한다. 산모는 팔이나 다리 눈 등이 기형인 아이들을 출산한다.
그런데 그런 제품을 제공한 이가 처음부터 그것을 알고 제공한 것은 아니다. 자신이 실험실에서는 자신이 초점을 맞추는 한 측면에서는 어떤 곤충이나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과를 관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일이 지나 그것이 그런 부작용을 일으킬 줄은 미리 몰랐던 것이다. 결국 어리석음이 원인이다.
그런데 그런 잘못을 계속해서 반복해 나가는 것이 문제다.
자연과학은 곧바로 상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 사정이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것을 개선해야 한다.
그런 연구결과를 발표하기 전에 조금 더 추가 연구를 해야 마땅하다.
그래서 그 결과는 오직 좋고 좋은 취지에서 사용될 때만 나타나도록 안전장치를 장착하는 지혜까지 필요하다.
요즘 컴퓨터에 인텔 인사이드 이런 상표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다. CPU가 겉으로는 안 보이지만, 그 부분이 핵심이기도 하다.
물리학 화학 분야도 사정이 비슷하다. 그래서 shield 장치가 필요하다. 이 shield 장치가 무엇을 하는가.
그 지식을 사용해 얻으려는 결과나 취지가 선하고 좋으면 결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게 한다. 그리고 그 지식의 내용 자체를 열어보려면 그 지식 자체가 사라진다. 그런 shield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shield 가 개발되어 위와 같은 사정이 검증되면 그에 그 개발자의 성명을 붙여서 상을 주면 된다.
알고보면 그것이 경전에서 제공하는 다라니다.
아무리 다라니를 뜯어 보아도 거기에 담긴 내용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중생을 제도하려는 취지로 그것을 대하면 또 곧바로 효과를 발휘한다.
다라니를 연구하는 입장도 마찬가지다. 그런 취지에서 다리니를 대해 연구하면 그 다라니에 담긴 구제척 내용을 하나하나 알아낼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알아낸 다음에는 위와 같은 사정으로 인해 그것을 다시 다라니로 묶어 지니고 다녀야 한다. 그리고 공급하더라도 그런 형태로 공급해야 한다.
이것이 넓고 길고 깊은 광장심 방식에 의한 지혜와 좁고 짧고 얕은 협단천 방식에 의해 얻는 지혜의 차이다. 뒤의 경우는 지혜라고 표현하기도 곤란하다. 이를 원숭이의 잔꾀와 같다고 하면 조금 지나치지만, 그런 지혜가 일으키는 폐해를 생각하면 그렇게 표현해야 할 듯 하다.
어떤 잔꾀가 처음 원하는 바나나를 쉽게 얻게 하지만, 그로 인해 나중에 머리에 혹이 생기게 하고 죽음에 이르게 한다. 그렇다면 곤란하다.
그런데 현실에서 가치 중립인 것처럼 포장해서 세상에 온갖 형태로 공급하는 내용이 그 사정이 그와 같다.
그래서 노벨상은 사실은 좋은 것을 하나 준다면 세상에 폐해를 무량하게 갖다두는 판도라 상자와 같다.
결국 에피메테우스나 프로메테우스가 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독수리가 쉼없이 조아대면 다시 생살이 돋아나는 지옥에 처하게 된다. 또는 시지프스처럼 돌을 굴려 올라가면 최종지점에서 다시 굴러 떨어지는 상황이 된다. 그깃이 현재 노벨상이 갖는 의미다.
요즘 후쿠오카가 문제다. 방사능이 끊임없이 누출된다. 그런데 방법이 없다. 그래서 그냥 바다 공해에 배출할 도리 밖에는 없다고 한다.
그런데 오늘날 또 같은 문제에 봉착된다. 그런 위험성이 있는데 이것을 다시 지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그리고 위 위험성을 제시하면, 그것은 아주 특이한 예라고 무시하려 한다. 마치 임진왜란 전의 선조와 같은 자세다. 또는 이리가 앞에 보일 때 취하는 꿩과 같다. 머리를 모래에 파묻고 이리는 보이지 않는다. 외치는 것과 같다.
그것이 정말 필요하다면 위 문제를 먼저 해결하면 된다. 그래서 이렇게 말하면 된다. 그런 경우는 이러이러하게 조치를 취해서 해결하면 된다. 그렇게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 비슷한 발전소를 만들자고 하면 된다.
그런데 그런 경우는 모르겠다. 그러나 이런 측면이 좋지 않은가 하면서 건설하려고 하면 문제다.
또 다른 노벨이나 아윈쉬타인이 나타나게 된다. 나는 그런 측면으로 제시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문제가 나타나면 그 경우는 나는 모르겠다. 그렇게 임하면 곤란한 것이다.
공장에서 생기는 수익은 내 것이다. 그러나 공장에서 버리는 폐수나 공해 물질은 나는 모르겠다. 하천이나 바다나 공중의 대기가 알아서 해줄 것이다. 이렇게 임하면 문제다. 심하게 말하며 범죄지다.
마약을 팔아서 수익을 얻고 그 일부를 장학금으로 내놓으려고 한다고 하자. 공과 과가 섞이기에 골치가 아파온다.
그냥 가만히 있었으면 한다.
노벨 경제학상을 살펴보자. 처음 명제가 이것이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다. 그런데 재화는 한정되어 있다. 이를 희소성의 원칙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경제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기본 내용을 잘 파악한다.
이 문제가 어떻게 해야 해결될 것인가. 과연 경제학자가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방안을 제시하는가 살펴보자. 위 문제에 답이 있다. 그 전제에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그러니 그 전제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망집에 바탕해 무한하게 일으키는 소원이 그 문제의 핵심이다. 그러니까 그 부분을 해결해야 위 문제가 해결된다.
재화를 어떻게 생산해서 어떻게 분배하던 위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끝내 해결되지 않는다. 이런 것을 밑빠진 독에 물 부어 채우기 문제라고 칭한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이가 사업을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는 자신의 생명과 신체에 대한 감가상각비용을 넘는 수익이라고 얻는다면 다행이다. 자신의 생명과 신체의 감가상각비용을 얼마로 책정해야 하는가. 그리고 이 비용을 넘는 수익을 얻는 방안은 무엇인가. 이런 것이라고 파악해서 제시한다면 상을 줄만하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같이 어리석은 원숭이 지혜일 뿐이다.
그러나 그런 복잡한 지식을 몰라도 된다. 생존에 필수적인 재화를 해결하고 망집을 제거하면 이들 문제는 또 반대로 쉽게 해결된다.
또는 걸식(乞食)ㆍ탁발(托鉢). 승려들이 보시를 권하며, 재물이나 곡식을 얻으려고 여러 곳으로 이집 저집 돌아다니는 일. 그 출처로는 신라 때에 왕륜사(王輪寺)의 스님 거빈(巨貧)과 교광(皎光)이 함께 발원하고, 비로자나장륙금상을 조성하기 위하여 동냥하였다고 한다. 뒤에는 개인의 의식에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되었다. 혹 동량(棟樑)이라고도 쓴다.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Buddhism in Scotland [san-chn]
tattva-śūnya 實空 [san-eng]
tenaiva $ 범어 in that [pali-chn]
mahā-purisa 大士 [pal-eng]
anekasaakha $ 팔리어 adj.with many branches. [Eng-Ch-Eng]
大小 (1) Large and small (alpa-maha^). (2) A reference to greater vehicle Buddhism and lesser vehicle Buddhism 大小乘. [Muller-jpn-Eng]
月燈三昧 ガットウサンマイ (foreign) moon-lamp samādhi [Glossary_of_Buddhism-Eng]
UNCONDITIONED DHARMAS☞ Syn: Uncompounded; Uncreated; Without Outflows. See also: Conditioned Dharmas; Outflows. “Those dharmas which do not arise or cease, and are not transient. Examples: Nirvana, the Dharma-body, and the ancient philosophical concept of space.” Chan: 485 Unconditioned /Uncompounded: That which exists but is not made up of discrete elements (compounded), nor subject to the law of cause and effect. Uncompounded phenomena include space and Nirvana. By extension, the ultimate truth or emptiness (as the essence of all phenomena). Editor: na Note: “The virtues of Buddha Recitation are ‘unconditioned’ good roots. Ordinary, impure persons who develop the Bodhi Mind, seek rebirth and constantly practice Buddha Recitation can subdue and destroy afflictions, achieve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depending on their level of cultivation, obtain a vision of the rudimentary aspects of the Buddha (the thirty-two marks of greatness, for example). Bodhisattvas, naturally, can achieve rebirth and see the subtle, loftier aspects of the Buddha (i.e., the Dharma body).” [Tien T’ai Patriarch Chih I] Dia: 21 #0033 【book-page-816 817】
69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시되, "만약 국토에 재난이 일어날 때 이 국토의 왕이 능히 정법(正法)으로 국가를 다스리되 너그럽게 속박된 사람을 놓아주고 중샐들을 어지럽히지 않고 중생들의 허물을 용서하며 칠일칠야(七日七夜)동안 몸과 마음을 정진하여 이를 외우고 지니면, 대비심다라니신주(大悲心陁羅尼神呪)의 위신력으로 국토에 일체 재난이 모두 없어지며 여러가지 곡식은 풍성하며 모든 백성은 안락하리라. 만약 다른 나라의 원수나 적이 자주 침입하여 백성은 불안하고 대신(大臣)은 모반하며 전염병의 기운이 돌아다니고, 물은 가물며 해와 달은 정도를 잃고 폭우와 우박이 내려서 오곡을 손상시키고 맹수가 떼를 지어 다니며 백성을 해롭게 하는 등 이와 같은 가지가지 상서롭지 못한 일들이 속출할 때에 마땅히 천안대비심상(千眼大悲心像)을 조성하여 그 방향으로 면을 향하게 하고 [주]------ * 참고로 신수대장경에는 面向其方을 面向西方으로 하여 그 면을 서방으로 향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주끝]------ 가지가지 향과 꽃과 보배, 깃발[幢幡]과 덮개[盖]와 여러가지 좋은 음식과 마음마음으로 소중히 여기며 지극한 정성으로 공양 올리며 그 국왕은 또 칠일칠야 동안 몸과 마음을 정진하여 이 다라니 신묘장구(神妙章句)를 외우고 지니면 외국의 원적(怨敵)이 자연히 항복하고 제각기 나라를 다스려 내나라 남의 나라간에 원수가 없어지며 국토가 하나로 통하여 합쳐지며 자심(慈心)으로 서로 향하게 되며 왕자(王子)와 백관(百官)이 다 충성을 하고 후비(后妃)와 궁녀(宮女)는 효순하고 공경히 왕에게 향할 것이며 모든 천룡(天龍)과 신(神)이 그 나라를 옹호해서 바람과 비는 순조롭게 내려지며 과실은 풍성하고 모든 사람들은 기쁘고 즐거우리라. ● 사바하 娑婆訶<六十九>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9 오나유 녜예 라나 녜나가로 시니 사 塢那喩<引>禰詣<二合>囉拏<二合>禰曩迦嚕<引>瑟抳<二合>沙<三十九>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